음악이야기2017. 7. 17. 13:16

-편곡이란 무엇일까요?(편곡의 정의)


좀 아리까리 해서 한번 정의해보았습니다.

편곡이란 영어로 arrangement이라고 합니다.


어렸을적에 노래방에 가서 노래를 부르면 보통 노래를 누가 만들었냐고 나옵니다.

편곡? 재편곡? 리메이크? 리믹스? 뭐, 리믹스는 제껴 두더라도, 햇갈리더군요.

여기서 작사, 작곡, 편곡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여기서 작곡이면 노래를 만드는것? 작사면 가사를 쓰는 것을 말할 텐데, 편곡은 편(edit)곡(song) 음악 바꾸는 것을 이야기 하는 것 일까?

근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작사 = 가사를 만드는 작업

작곡 = 멜로디를 만드는 작업. 멜로디(선율) 중에서도 주멜로디(주선율)을 만드는 작업이 작곡입니다. 멜로디 중 부선율을 만드는 작업은 편곡 작업에 해당합니다.

편곡 = 멜로디를 뒷받침해주는 부분(반주, 부선율, 코러스)을 만드는 작업

재편곡 = 기존의 편곡을 새롭게 바꾸는 작업

리메이크 = 기존에 발표된 곡의 멜로디의 일부나 가사 또는 편곡을 새롭게 바꾸는 작업

이라고 합니다.


나무위키에 정의되어 있기로는 

음악에서 멜로디를 뒷받침하는 부분(반주, 부선율, 코러스)을 만드는 작업

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주멜로디를 뒷받침해주는 부분'입니다. 

멜로디에는 주멜로디(주선율)와 부멜로디(부선율)가 있는데, 단순히 멜로디라고 말할 때는 주 멜로디만을 의미 하는게 보통입니다.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사운드를 조정하는 엔지니어링, 마스터링 단계를 마지막 단계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하나의 곡을 만드는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의 작업으로 봅니다. 


한편 멜로디를 뒷받침해주는 것 중 핵심은 반주이기 때문에 편곡을 '반주를 만드는 작업'이라고 이해해도 무방합니다.

영어로 표기된 음반 크레딧의 경우 편곡자 이름은 arranged by 뒤(또는 arrangement by 뒤)에 표기됩니다. 

예를 들어 'arranged by 아무개'

힙합에서는 반주보다는 비트라는 용어가 주로 쓰입니다. 

그리고 힙합에서는 '비트 찍는다'는 말을 쓰곤 하는데, 그 작업이 힙합에서의 편곡 작업에 해당합니다.


편곡이란 말이 왜 곡을 바꾼다 같은 재편곡이나, 리메이크와 같이 쓰이는 이런 오해가 생겼냐 하니

인기 TV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 '불후의 명곡' 등 음악 경연 프로그램에서 


편곡이라는 단어를 '곡의 분위기나 스타일을 새롭게 바꾸는 작업'이라는 의미로 잘못 사용하였고, 해당 프로그램들이 인기를 끌면서, 현재 많은 사람들이 편곡의 의미를 그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는 가수다, 불후의 명곡 등에서 보여지는 작업은 엄밀히 말하면 재편곡 또는 리메이크입니다. 

물론 재편곡 역시 편곡 작업이긴 합니다. 또한 리메이크를 할 땐 보통 재편곡 작업이 동반됩니다. 

따라서 해당 프로그램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존 곡을 편곡했다'라는 말이 완전히 틀린 표현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가사를 바꾸는 것 역시 작사 작업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작사의 의미가 기존의 가사를 바꾸는 작업이 아니듯, 편곡의 의미는 반주 등을 만드는 작업이지 기존의 편곡을 새롭게 바꾸는 작업이 아닙니다. 

따라서 음악 경연 프로그램에서의 자주 쓰이는 '기존 곡을 편곡했다'는 표현보다는, '기존 곡을 재편곡했다', 또는 '기존 곡을 리메이크했다'는 표현이 보다 정확한 표현입니다.

한편 정식으로 발표된 노래 중 리메이크가 되지 않은 노래는 널리고 널렸지만, 편곡이 되지 않은 노래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왜냐하면 발표된 대부분의 노래에는 반주가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작사, 작곡만 한 뒤, 반주없이 보컬만 녹음하여 발표한 노래가 있을 수도 있는데, 그런 곡은 편곡이 되지 않은 곡입니다.


반주를 어떻게 만드느냐, 즉 편곡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곡의 전반적인 분위기, 디테일 등이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 

사실상 편곡은 작곡보다 더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작곡이 뼈대라면 편곡은 그 뼈대에 살을 붙이는 작업입니다. 

그만큼 편곡은 중요한 일이며, 스타일에 따라 오히려 작곡보다 편곡이 더욱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하나의 노래를 만들면서 작곡가가 편곡까지 도맡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작곡가와 편곡자가 다른 경우도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작곡보다 편곡이 더 어렵다고 말합니다. 

막말로 작곡은 악보도 모르고, 악기를 연주할 줄 몰라도, 멜로디를 흥얼거릴 줄만 알면 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악보야 악보 그릴 줄 아는 사람이 나중에 흥얼거리는 것을 듣고 그려주면 되는 거니까요.

다시 말해 음악에 대한 아무런 지식 없이도, 음악 공부를 한 적이 없어도 할 수 있는 것이 작곡입니다. 물론 음악을 체계적으로 공부한 뒤 작곡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좋은 곡을 쓸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편곡은 다릅니다. 편곡은 음악 지식을 공부하지 않으면 불가능합니다. 


각 악기의 특징들도 알아야 하고, 악기 연주도 어느 정도 할 줄 알아야 하고 어느 정도 이상의 음악 이론도 알아야 할 수 합니다.


다만 최근엔 자동연주프로그램, 즉 시퀀서(DAW)와 가상악기프로그램이 있어서 실제 연주를 못해도 편곡이 아예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실제악기를 연주할 줄 아는 것과 그렇지 못하고 컴퓨터 프로그램만 돌릴 줄 아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박진영이 말한 바가 있습니다.


한편 아이돌들이 작곡했다고 하는 노래들의 크레딧을 살펴보면, 편곡은 대부분 유명한 다른 프로듀서가 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소위 작곡한다는 아이돌 가수들의 경우 편곡은 못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아이돌들의 실력을 폄하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작곡과 편곡은 다르다는 설명이지요. 

편곡이 먼저 된 곡 위에 멜로디를 붙여 작곡을 하기도 합니다.


박진영은 작곡으로 칭찬들었을 때보다, 편곡으로 칭찬 들었을 때가 훨씬 기분 좋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앞서도 말했듯이 편곡은 공부라는 노력이 필요하므로, 편곡 잘했다는 소리를 들으면 음악 공부에 대한 노력을 인정받은 듯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작곡'은 주선율(주멜로디) 정도, 그러니까 진짜 '뼈대'만 만드는 것을 가리킨다고 보면 됩니다. 

주선율은 일단 최소한 만드는 단계에서는 선율 자체만 좋으면 되지만, 반주의 경우는 주선율을 잘 받쳐주면서 곡을 살려줘야 하는 동시에 자기들끼리도 조화를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신경 쓸 게 많습니다. 


제가 예전에 만들어보기로는 드럼샘플이나 mpc같은 걸로 드럼 루프 붇히고 기타나 피아노 멜로디 대충 코드만 따서 치고 베이스는 루트음만 쳐서 한 곡 만들어본 적은 있습니다.

처음 들을때는 귀가 익숙해져서 그런지 몰랐는데, 나중에 와서 듣기엔 참 괴롭더군요.


밴드의 경우는 모든 멤버가 공동으로 편곡 작업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보통은 합주실이나 스튜디오에서 서로 아이디어를 교환하면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혹은 키보디스트나 기타리스트카 단독으로 편곡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베이시스트가 편곡을 담당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리듬악기인 동시에 멜로디악기라는 베이스의 특성상 각 악기의 조화에 신경 쓰기가 비교적 수월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그러나 보통은 '다 같이 작업해서 특별히 누가 만들고 누가 편곡한 곡이라고 하기가 어렵다.'며 작/편곡자를 밴드 명의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편곡 작업 중에서도 스트링 편곡(현악기 편곡)이 가장 어렵다고들 합니다.


작사라 MC라면 자기 가사 자기가 쓰는데 일이니깐, 흔히 했었고. 작곡은 그냥 멜로디 흥얼흥얼거리는 거 녹음시켜서 만들긴했었는데 불협화음만 가득하더군요.

편곡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좀 쉬게 곡을 만들수 있습니다.


Band in a box


코드만 입력해서 style을 입력해주면, 알아서 해당 장르에 비슷한 음악을 만들어줍니다. 힙합, 째즈, 락, 발라드 뿐아니라 살사, 바차타등 라틴 음악도 있네요.

곡 퀄리티는 midi라 좀 실망스럽지만 midi로 저장해서 DAW에서 불러와 vsti이용해서 짜집기하면 곡 작업을 하기 수월해집니다.


Chord Sketcher


Chord Sketcher은 16악기 트랙이 자동 생성되며 패턴 어렌인지 방식입니다. 

알아서 다른 악기들이 코드에 맞게 끔 연주해 주네요.


SmartComposer - Automatic Composer Software


이건 국산 소프트웨어라고 하는데, 잘은 모르겠습니다. 유튜브 영상이 너무 신기해서 퍼왔네요.

노래 멜로디만 녹음하면 알아서 거기에 맞추어 반주를 만들어주고 악보를 그려 준다고 합니다.


vsti중에서 

Keyboard : Toontrack EZkeys, XLN Audio Addictive Keys

brass : Native Instruments Session Horns Pro

String : Native Instruments Session Strings Pro

Guitar, Bass :

Applied Acoustics Strum Acoustic GS-1, 

Applied Acoustics Strum Electric GS-1, 

Ample Sound에서 나오는 guitar, bass시리즈,

MusicLab Real에서 나오는 Real guitar시리즈, 

Sugar Bytes Guitarist, 

Rob Papen RG, 

H.E Audio Poetic Acoustic Guitars, 

Steinberg Virtual Guitarist


등을 이용해서 코드만 넣으면 자동으로 연주해 주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드럼도 Ezdrummer이나, addictive drum 같은 vsti로 드럼도 어느정도 사람들이 자주 쓰는 패턴들을 따라서 쉽게 만들수 있습니다.


피아노롤만 보고 띵띵 거리다가, vsti 설치해서


예를 들자면 머니코드인

F - G -  Em - Am

이런식으로 피아노, 기타, 베이스, 스트링, 브레쓰를 연주하면서 드럼음을 박아 주면 그나마 풍성하게 들립니다.

코드도 계속 반복되기보단 살짝 살짝씩 바꾸어 주는 맛이 있어야겠죠.

물론 어느정도 코드의 구조와 연주기법은 아셔야 제대로 활용 가능할듯합니다.



출처 : 나무위키, 본인생각



Posted by Joseph514
음악이야기2017. 7. 12. 11:19

-샘플링에 대해서(정의)


누구의 노래를 샘플링했네 라고 이야기할때 이야기하는 샘플링이란 무엇일까요?

공학이나 과학적으로 쓰이는게 아닌이상 대부분 음악에서 사용하는 아래의 뜻일것입니다.

기존에 있던 곡의 일부 음원을 잘라내 새롭게 가공하고 배치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장르는 힙합음악이지만 요즘은 다양한 장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어릴적에 랩 음악을 만들때는, 마음에 드는 멜로디를 셈플링해서 드럼이랑 베이스 비트 정도만 만들고, 시작부분 끝부분이랑 중간 중간에 멜로디만 넣어줘도 그럴듯하게 곡이 나왔던 기억이 납니다. 

물론 이게 제대로 된 방법은 아닙니다.




남의 음원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저작권료를 내야 합니다. 

Jay-Z의 《Blueprint》 앨범의 예를 들면 사용된 샘플링 원곡이 약 12곡 정도 되는데 이것의 사용료만 100만 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샘플 클리어'라고 하더군요. 

전 처음에는 원곡에서 목소리나 다른 반주들은 지우고 원하는 부분만 샘플로 쓸수있게 없애는 작업인줄로 알았습니다.

 

원작자의 허락을 받지 않고 무단으로 샘플링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무명 뮤지션들의 경우에는 무단 샘플링을 많이 해도 그다지 문제삼지 않으며 원작자들도 적절히 눈 감아주는 편입니다. 

하지만 노래 하나에 억대의 돈이 오가는 유명 뮤지션들은 무단으로 하다가 걸리면 얄짤없기 때문에 비교적 잘 지킨다고 합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외국 음악이라는 점을 이용해서 유명해진 뮤지션들 조차도 무단으로 샘플링을 하는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에픽하이, 더콰이엇, 다이나믹듀오, 리쌍, 아이유 등이 무단 샘플링으로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비호를 하자면, 한국에서는 설사 성공한 메이저 가수라고 해도 팝을 샘플링했을 경우 샘플 클리어가 금전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샘플링이라는 미국의 길거리에서 유희로써 작용했던 예술 형식이 한국이라는 특수한 시장을 만나 자리잡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미국 가수와 같은 절차로 샘플료를 지급하라는 것은 힙합 곡을 만들면 만들수록 돈을 버는게 아니라 돈을 잃게 되는, 한국에서는 힙합 하지 말라는 말밖에 되지 않는다.' 

'샘플링 하지 않고 힙합하면 되지 않느냐는 말을 할 수도 있지만 샘플링은 랩 등과 함께 힙합의 핵심적인 역할이다' 

라고 마치 샘플링 없으면 안되는 것 마냥 옹호자들은 주장 하는데 힙합의 시작이 샘플링과 긴밀한 관계에 있었던 것은 맞지만 현대에 있어선 그저 작법 중 하나일 뿐이지 힙합=샘플링이 아닙니다. 


버벌진트만 봐도 시퀀싱으로 한국 힙합에 손꼽히는 명반인 누명을 만들어냈습니다. 

에미넴, 카녜 웨스트등도 그랬으니 우리도 해도 된다는 건 피장파장의 오류라고도 볼수 있습니다. 


모나리자를 잘라서 재배열, 썩 괜찮은 그림을 만들어 냈다고 가정해보자 감각은 있다고 생각들겠지만 모나리자가 없었다면 재배열한 그림도 나올 수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원작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노고를 인정해줘야하는 건 당연한 것 아닐까요? 

애초에 무료로 공개하는 믹스테잎이면 몰라도 상업적인 음반, 음원에서 이런 짓으로 돈을 번다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유니버셜 뮤직 코리아, 워너 뮤직 코리아 등에서 팝 음악을 관리하기 때문에 마음 먹으면 샘플 클리어 가능하고 이 사례처럼 태클 걸어오는 것도 가능합니다.


샘플링도 방식에 따라, 저작권자에 따라 내야 하는 저작권료가 다릅니다. 


1. 원곡보다는 리메이크 곡을 샘플링하는게 더 저렴합니다.

2. 그대로 따오는것과 재연주 해서 따오는것이 더 저작권료가 낮습니다. 

비틀즈의 곡 같은 경우는 여러 사람에게 분산된 저작권, 높은 유명세로 인한 고액의 로열티, 저작권자의 거부로 인하여 정식으로 샘플링된 경우가 극히 드믑니다. 

그래서 

3. 샘플링을 해도 저작권료를 내지 않기 위해 음을 잘개 쪼개고 변형시켜서 거의 알아보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도 많이 쓰입니다.

아예 샘플링 하라고 만들어 놓은 것을 모아놓은 샘플CD라는게 있는데 이건 클리어링 없이 그냥 CD를 사는 것만으로도 저작권이 넘어 갑니다.

대표적으로 서태지와 아이들의 대표곡인 '난 알아요'와 '컴백홈'이 샘플CD에 있는 샘플들을 가공해서 만들어졌습니다.


국내에서는 표절과 샘플링에 대한 개념이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걸 이용하여 작곡가들이 표절 시비가 나면 샘플링이란 말을 사용해서 자주 피해가곤 합니다. 

클리어를 했는지 안했는지는 원작자들만 알기 때문에 적절히 샘플링으로 둘러대며 원작자의 귀에만 안 들어가도록 논란을 덮는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샘플링이라고 무조건 표절이라고 몰고 가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아이유의 경우 곡에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목소리 샘플이 들어갔는데 샘플 클리어 여부로 음악인들 사이에서 논쟁이 일던 것을 기자들이 표절로 부풀려 곤욕을 치렀습니다. 

참고로 샘플클리어를 했다면 원작자가 해당 곡을 창작으로 인정한 거기 때문에 앨범 부클릿이나 저작권 협회에 본인을 작곡으로 걸어놔도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샘플링한 곡이 저작권 협회에 원작자 이름이 등록 안 됐다고 무단 샘플링으로 몰아세우기도 하는데 사실 잘못된 것입니다.

그래서 업계 관련인이나 당사자들이 아닌 제 3자들이 샘플클리어 여부에 대해서 알 길이 없습니다. 


작곡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무시하는 작법이기도 합니다. 

"그냥 복사해서 갖다 붙여 놓고 작곡이라고?" 


같은 인식이 국내외 가릴 것 없이 팽배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샘플링으로 음악을 제대로 만들려고 작정하면 無에서 시작하는 작법보다 쉬운 작법은 결코 아닙니다. 

제이딜라나 카녜 웨스트, 랍티미스트처럼 '원곡이 단번에 떠오르지 않으면서 원곡의 느낌은 그대로 녹여내는' 식의 샘플링은 정말 어마어마한 음악적 감각이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샘플 한 토막을 얻기 위해 수 많은 노래들을 찾고 또 찾는 과정 속에서 얻어낸 몇 마디를 느낌이 상하지 않는 선에서 음정과 BPM을 맞춰야 합니다. 

더구나 베이스와 드럼 비트는 직접 시퀀싱을 해야할 때가 많습니다. 그것도 그 샘플이 다치지 않으면서 의도한 분위기에 맞아 떨어지게 만들어야 합니다. 

어떻게 보면 제약이 없는 시퀀싱보다 더 어려운 작업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2009년에 나온 멜로다인 신 버전의 신 기능인 Direct Note Access로 인해서 샘플링을 할 때 원곡이 어떤 형태였는지 모르게 변형할 수 있는 경지가 가능해서 전 세계 음악인들이 충격을 주었다고 합니다.


다만 자연스럽게 들리게 하긴 힘듭니다. 

실제로 멜로다인으로 기타 솔로 트랙 수준이 아닌 믹스된 트랙을 쪼개게 되면 각종 소리(햇, 스네어, 기타, 피아노 등등..)가 난잡하게 섞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그러니 음을 자연스럽게 조작하는 일도 매우 힘듭니다. 

하지만 간단한 곡은 그냥 이퀄라이징으로 상당부분 클리닝이 가능하고 요즘처럼 샘플CD가 널린 시대에는 수가 확연히 적긴 해도 스템파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곳 또한 없지 않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적당한 소스 몇개씩 뽑아서 써먹는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샘플링 자체에 관련된 특이한 곡으로 The Sampling Paradise가 있습니다.


위에 이야기처럼, 셈플링이 무슨 노래냐, 컨트롤 씨브이 한거 아니냐 할수도 있겠지만

유명한 노래에서 샘플을 따든, 같은 멜로디로 연주를 하든, 그걸로 인해 듣기 좋게 노래를 만든다면 그걸 만드는 것도 실력이고.

저작권문제가 아니라면 비난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싶네요.


샘플링의 원곡을 찾아 주는 사이트도 존재합니다.


http://www.whosampled.com/


http://the-breaks.com/ 


출처 : 나무위키, 본인생각



Posted by Joseph514
음악이야기2017. 7. 11. 13:35

-VST(Virtual Studio Technology) 정의


VST. Virtual Studio Technology 의 약자로 사실상 업계 표준입니다.

VST/i 는 큐베이스, 누엔도 그리고 Wavelab 등의 유명한 DAW 를 개발한 독일의 Steinberg 사에서 개발한 오디오 신호처리 플러그인 API 규격이며, Steinberg에서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지만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VST는 소프트웨어 이펙터 역할을 하는 VST 와,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역할을 하는 VSTi 로 구분됩니다. 이 둘을 한번에 VST(i) 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VST 는 페이저, 리버브, 에코, EQ, 트레몰로, 증폭 등의 많은 가상 이펙터를 제작하는 API 규격입니다. 

여담으로 일렉기타만 있고 앰프, 이펙터는 없다면 대표적으로 Native Instrument 사의 Guitar Rig 와 Guitar Rig Kontrol 을 사용하면 앰프가 필요 없을 정도라고 합니다.



VSTi의 i는 instrument, 악기를 뜻하며, 신시사이저가 이 형식으로 제작됩니다. 이런 부류의 프로그램을 '가상악기'라고도 부릅니다. 

VST 자체가 가상 오디오 신호처리 플러그인을 위한 API에 대한 표준이므로, 넓은 의미에서 VST는 VSTi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그리고 보컬로이드도 VSTi에 속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VST 가 지원하는 플랫폼은 Windows 와 OS X, Linux입니다. Linux의 경우 공식 지원과 비공식 지원이 둘 다 존재합니다. 공식 지원은 Linux용 Delphi에 포함된 VST SDK 이며, 비공식 지원은 오픈소스 Java VST SDK 입니다.

Windows는 VST(i) 가 DLL 형태로 생성되어 확장자도 .dll 이 되는데 OS X에서는 .VST 를 확장자로 사용합니다. 

LMMS라는 오픈소스 시퀀서의 리눅스 버전에서 윈도우용 VST를 작동시킬 때 WINE을 사용합니다.


VST3 규격이 Cubase 5.0 과 동시에 발표되었는데, 확장자는 *.VST3 프로그래밍 규칙이 바뀌어 한번의 프로그래밍으로 쉽게 크로스 플랫폼을 만들 수 있다고는 하나 아직 VST3 규격의 악기는 많이 없습니다.

Logic의 단점 중 하나로, VST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VST를 구동하고, OS 내 입출력은 AU처럼 동작하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됩니다. 

FXpansion의 VST-AU Adapter(유료), Symbiosis AU-VST(무료)등의 프로그램이 이런 기능을 제공합니다.



-가상악기(Software Synthesizer)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는 대부분 기능적으로 원래 있는, 공기를 진동시켜서 내는 악기의 소리를 소프트웨어로 재현하거나, 인공의 전자음을 만드는 신시사이저의 소리를 소프트웨어로 재현하는 것입니다.

소프트웨어 악기로도 불리고, 실제 하드웨어가 없기 때문에 가상악기로 불리기도 하며, 특히 VST, AU 등의 플러그인 형태의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는 가상악기, 가상음원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영어로는 Software Synth, Soft Synthesizer, Softsynth, Virtual Instrument 등으로 불립니다.

보통 꽤 많은 조작 가능한 파라미터를 제공하며, 이것을 프리셋으로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MIDI 신호를 수신하며, MIDI Keyboard Controller 또는 다른 형태의 MIDI Controller를 연결하여 연주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하드웨어 신시사이저와 같은 기능을 합니다.

MIDI 시퀀서, DAW 프로그램 또는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며, 오디오 신호 및 MIDI 신호를 주고받는 API를 사용하여 MIDI 신호를 받아서 실시간으로 CPU나 별도로 추가된 DSP 보드로 소리를 합성하여 이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 다시 운영체제 또는 시퀀서, DAW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API를 사용하여 출력하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주로 MIDI 시퀀서, DAW와 같은 소프트웨어 기반 음악 제작 환경에서 사용되며, 사보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많은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가 별도의 추가 프로그램 없이, 독립적으로 실행이 가능하지만, VST, AU 등과 같은 플러그인 형태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이것들은 바로 Logic, Cubase와 같은 DAW 플러그인 호스트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에서 불러 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로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를 사용하면 DAW 프로그램 내부의 MIDI 트랙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소리를 내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바로 DAW 프로그램 내부의 가상 믹서로 연결되며, 가상 믹서에 연결된 소프트웨어 이펙터 플러그인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가 처리됩니다.


장점으로는 DAW와 함께 사용하면 공간과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고, 하드웨어 신시사이저가 케이블로 연결될 때와는 달리 신호 손실이 전혀 없게 됩니다. 또한 컴퓨터의 RAM과 CPU가 허용하는 한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무제한으로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최근에는 하드웨어 형태로 된 신시사이저를 능가 할 수 있을 정도로 소리마저 좋아졌기 때문에, 100%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만을 사용하여 프로듀싱을 하는 경우도 생각보다 꽤 흔하게 발견됩니다.

무엇보다 음악인 입장에서는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가 꽤 쓸만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엄청 싼 편에 속하기 때문에, 음악을 제작할 때 DAW와 함께 사용하면 예산을 대폭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일단 곡 전체를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를 사용하여 만들고, 최종 녹음 작업 때 필요한 부분만 하드웨어 신시사이저를 대여하여 사용하거나 드럼, 기타 등의 전문 세션맨을 고용하여 녹음을 하는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며, 위에 적은 것과 같이 아예 100%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만으로 녹음된 음반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East West/Quantum Leap사의 Complete Classical Collection Second Edition 오케스트라 가상악기의 경우 500 달러 미만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 관현악단을 섭외하여 녹음을 하면 어떨까요? 

예산 문제에서 비교가 되지를 않습니다. 

비단 오케스트라 뿐만이 아니라 홀로 작편곡을 하는 사람은 드럼을 녹음 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스네어, 심벌, 탐, 오버헤드 등 못해도 마이크가 6개는 들어가고 상업 스튜디오를 빌린다고 해도 몇 곡 넘어가다보면 연주자와 스튜디오 대여 비용보다 가상악기 하나 사는게 훨씬 싸게 먹힙니다.

이러한 환경을 데스크탑 컴퓨터가 아닌 노트북 컴퓨터에 구축하면, 이것을 들고 다니는 모든 곳이 음악 작업을 할 수 있는 곳이 됩니다. 

실내무대, 야외무대, 간이무대, 차 안, 기차 안, 비행기 안, 호텔 등에서 노트북을 켜기만 하면 바로 음악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더불어 12U 랙 케이스 8개에 빽빽히 꼽힌 것과 같은 산더미같은 장비가 더 이상 필요없게 되니, 공연 때 마다 트럭을 대여하거나 항공 화물을 부치지 않아도 되므로 이러한 비용 또한 절감됩니다.

전문 음악인이 이렇게 사용한 예로, 전문 색소폰 연주자이자 전자관악기 연주자였던 Michael Brecker를 들 수 있습니다. Brecker는 수도 없이 많은 MIDI 장비를 공연때마다 대동하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말년에 이 모든 것을 Logic 환경 설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로 구성하여 대체했습니다.


단점으로는 소리가 예전대비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나, 기존에 존재하던 악기를 재현하는 소프트웨어 신시사이저는 실제 악기를 연주할 때 사용하는 연주 기법을 똑같이 흉내내는데 어느 정도 한계가 아직까지 존재합니다. 

특히 특정 주법에서 나오는 고유 소리를 낼 때 약한 모습을 많이 보입니다.

예를 들면 색소폰에서 원래 기본음역에는 없는 고음을 호흡 조절과 특화된 운지를 통해 연주하는 알티시모는 아직까지 극복되지 못한 난제이며,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기타의 경우 하드웨어 신디든 가상악기든 여전한 난제입니다. 

통기타에서 피크를 쥐고 위 아래로 스트러밍 하는 것을 MIDI Keyboard Controller로 연주하여 흉내내는 것은 대단히 어렵습니다. 

일렉트릭 기타의 경우, 고유한 목재의 소리+픽업의 소리+앰프의 디스토션+수많은 이펙터라는 복잡한 사운드메이킹 과정과 트레몰로 암을 이용한 비브라토, 슬라이딩, 태핑 등 테크닉 재현은 어렵습니다. 

이러한 어쿠스틱 악기가 아니더라도 오래 사용하면 소리가 살짝 맛이 가는 아날로그 신디사이저 특유의 소리 또한 재현하지 못합니다.

그 밖에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만큼, CPU 성능, RAM 용량과 함께 내부 대역폭에 제약을 받습니다. 

트랙 수와 작업량이 웬만하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엔 RAM이 32GB가 되도 가볍게 넘길만큼 부족하기 때문에 2대 이상의 컴퓨터를 프로그램을 통해 호스팅으로 연결해서 나눠 쓰기도 합니다.


좀 어설픈 느낌이 있긴 하지만 확실히 요즘 시대에는 daw를 이용해서 vsti를 이용한 가상악기 연주만으로도, 앨범 낼수 있을 만큼의 퀄리티의 곡을 찍어 내는게 가능해 보입니다.



flstudio를 키면 덕후삘 나는 저 애니 캐릭터는 설정에서 지울수 있습니다.

물론 개인취향으로 좋아하시는 분들도 많은거 같더군요.

bachata guitar 라는 vst입니다. flstudio에서 피아노롤로 입력하면 바차타에서 사용되는 구이라(?) 기타 소리와 유사하게 연주해 줍니다. flstudio나 큐베이스나, 다른 daw를 쓰더라도 내장악기 외에, vsti를 쓰면 비슷한 퀄리티를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예전 80~90년대 노래방 삘 나던 미디음도 훌륭하게 바꿔주기도 합니다.


출처 : 나무위키, 본인생각

Posted by Joseph514
음악이야기2017. 7. 7. 17:23

-머니코드(Money Chord)의 정의


나름 음악한다고, 이야기했던 시절이 있었네요. 공연도 하고 녹음도 하고 자작곡도 만들기도 했었죠.

근데 화성악에 소양이 없다보니 좋은 멜로디를 통셈플링해서 드럼이나 베이스의 비트 정도만 찍고 써놓은 랩가사에 녹음을 하고 했었습니다.

그러다가 통기타를 배우는데 어느정도 유사한 코드의 진행이 있더군요.

기타나 피아노 같은 악기를 어릴때부터 기본적인 악기를 배웠던 사람들이라면 더 빨리 알수 있었을텐데 말이죠.

이 머니코드라는것이 무엇인지 한번 검색해보았습니다.



파헬벨의 카논을 재해석해 만든 코드 진행(Chord Progression)입니다.

귀에 쏙 들어오는 친숙한 멜로디를 많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팝과 가요를 불문하고 정말 자주 쓰이는 코드 진행입니다. 이름부터 '머니(Money)' 코드인 걸 보면 말이죠.

특히 발라드 곡에 아주 적합한 코드로 복잡한 스케일과 텐션, 베이스워킹을 사용해 세련된 편곡을 진행해도 곡의 뼈대 자체는 머니코드에 기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서 가끔은 이렇게 비슷한 코드 진행 때문에 표절 시비에 휘말리는 것도 적지 않은 편이라는군요.

물론 코드는 그냥 코드일 뿐이므로, 코드에는 주인이 없고 어떤 코드를 사용했다는 사실은 그 자체로는 전혀 비판의 대상이 아닙니다. 


크게 세 가지의 유형이 있습니다. (편의상 코드는 다장조로 표기합니다.)


I-V-vi-iii-IV-I-ii-V (C-G-Am-Em-F-C-Dm-G)

I-V/VII-vi-iii/V-IV-I/III-ii-V (C-G/B-Am-Em/G-F-C/E-Dm-G)

I-V-vi-IV (C-G-Am-F)


특히 4마디로 축약한 세 번째의 유형이 정말 많이 사용되며 이쪽을 따로 따서 '4 Chords'라고 하기도 합니다. 

두 번째 유형은 베이스음을 스케일 역순으로 하행하여 잡는 것으로 듣자마자 귀에 바로 감기는 진행이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기피되는 추세입니다.(파헬벨의 캐논과 너무나 똑같이 때문에) 

당연히 다양한 대리코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5도를 7도의 diminished로 잡는다거나(G-Bdim), 4도와 2도를 바꾼다든가(V-Dm) 등등... 방법은 무궁무진하게 많습니다. 

I-III-vi-IV(C-E-Am-F) 등 다른 자주 쓰이는 코드 진행 역시 머니코드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머니코드는 저 파헬벨의 캐논 코드 혹은 그 축약형을 말하는 것입니다. 

어차피 대중음악에서 자주 쓰이는 코드 진행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하나 추가하다 보면 '모든 코드 진행이 머니코드'가 되어 버립니다.

많은 이들의 선입견과는 달리, 수많은 현대인들이 즐겨 듣는 팝ㅡ감성에 맞는 코드 진행의 종류는 생각보다 적으며, 머니코드의 사용 여부는 곡의 예술적 성취와 큰 관계가 없습니다. 


'이것도 머니코드네, 창의력이 없나?' 같은 말로 넘길 사안이 아니라는 이야기이죠.


나무위키에 등제된 머니코드가 사용된 유명한 예시로는


Idina Menzel Let It Go

MIKA Happy Ending

Beatles Let It Be

oasis Whatever

Pet Shop Boys Go West 

Sweetbox Life is so cool 

무한궤도 그대에게

박상민 해바라기 

백지영 사랑 안 해

부활 네버엔딩 스토리

이문세 옛사랑

이선희 나 항상 그대를

임재범 너를 위해

자전거 탄 풍경 너에게 난, 나에게 넌

체리필터 낭만 고양이, 오리 날다

015B 이젠 안녕

U2 With or without you

CCM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

Jason Mraz I'm Yours

박효신 추억은 사랑을 닮아

등등이 있습니다.



머니코드 만으로 매들리를 만든 유튜브 영상도 있더군요.

Axis of Awesome의 머니코드 메들리.


머니 코드로 곡을 만들면 머니가 많이 굴러 들어와서 그렇게 이름 지어졌나 봅니다.

아래에 사이트는 빌보드 차트의 코드 진행을 참고할수 있습니다.


링크


대중음악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코드는 몇 개 없는거 같네요.

'음악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T(Virtual Studio Technology) 정의  (0) 2017.07.11
DAW(Digital Audio Workstation) 정의  (0) 2017.07.10
krettam - Bitches Gonna Going Down  (0) 2017.06.28
바차타(bachata)의 정의  (0) 2017.06.26
살사댄스에 대한 정의  (0) 2017.06.26
Posted by Joseph514